우주 은하계 쌍둥이 행성 연구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우주 은하계 쌍둥이 행성 연구

by 한-별 2021. 2. 15.
300x250

우주 은하계 쌍둥이 행성 연구

오늘부터 2주간 코로나 19 방역통제가 수도권은 2.5단계에서 2단계로, 비수도권은 1.5단계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오늘은 우주공간에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존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양계에 다른 지구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마 우리가 모르는 곳에 쌍둥이 행성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어릴 적에 방송에서 보여주었던 우주에 관한 만화가 생각이 나기도 합니다.

우리가 추측하고 있는 생명체를 확인할 수 있는 지구와 멀리 떨어진 행성이 얼마나 많이 존재할까요?

NASA의 새로운 데이터 분석은 은하계에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거주 가능한 외계 행성의 수를 증가시킵니다.

NASA의 케플러 우주선은 20093월에 3년 반의 임무로 은하수 하늘에 있는 15만 개의 별을 감시하기 위해 발사되었습니다.

우주선은 탐사하는 동안 별 들 중에서 4,000개 이상의 외계 후보 세계를 발견했습니다.

은하계에는 별들은 적색 왜성으로 알려진 작고 어두운 별들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아무도 생명이나 거주의 흔적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곳과의 거리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와 같은 기간에 궤도를 도는 것이므로 같은 양의 빛을 받고 태양과 같은 별을 도는 것을 찾아야 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아직 크기나 궤도 또는 별 유형 측면에서 지구와 똑같은 행성 후보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구 한 크기의 천체가 거주 가능 구역에서 태양계의 궤도를 돌고 있고, 표면이 액체가 존재하기에 충분히 따뜻한 곳도 있다고 주장합니다.

NASA 연구팀이 밝혀낸 것은 우리 태양과 질량과 밝기가 비슷한 별의 최소 1/3 정도가 거주 가능한 지역으로 지구와 같은 암석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NASA에 따르면 은하수에는 적어도 천억 개의 별이 있으며, 그중 약 40억 개의 별이 태양과 같다고 합니다.

만약 그 별들 중 7%만이 거주 가능한 행성이라면 은하수 전체에만 3억 개의 잠재적으로 거주 가능한 지구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주 가능성을 매우 낮게 보고 있어서 추정치를 낮추는 실정입니다.

천문학자들은 평균적으로 가장 가까운 행성은 약 20광년 거리에 있어야 하고 태양으로부터 30광년 정도 이내에 4개 이상의 행성이 있어야 한다고 계산합니다.

천문학자들이 은하계에 얼마나 많은 외계 기술 문명이 존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우주 공간에 안테나나 다른 전파 수단으로 접촉할 수 있는지를 계속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인간이 우주의 외로움을 끝내기 위한 끝없는 탐구를 통해 생명이 나타나는 우주세계의 일부로 이동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