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추위에 꿀 잠(숙면)이 필요하면 잘 먹어라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강추위에 꿀 잠(숙면)이 필요하면 잘 먹어라

by 한-별 2021. 1. 9.
300x250

강추위에 꿀 잠(숙면)이 필요하면 잘 먹어라

 

요즘 우리는 코로나 19, 스트레스, 기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불안감과 초조함, 답답함을 이겨내려면 잘 먹어야 합니다.

 

아무거나 맛만 좋은 것만 따지면 안 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음식을 잘 먹어야 합니다.

 

음식과 숙면과의 연관성은 하루 종일 섭취하는 음식에 따라 변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음식을 소개하겠습니다.

 

첫째, 가공 식품보다는 전체 식품을 섭취하길 바랍니다.

이것은 소화 시스템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며 설탕이 많거나 과도하게 가공된 식사는 혈당을 급등시킬 수 있습니다.

 

최소한으로 가공되고 섬유질로 포장된 것으로 정의되는 전체 식품은 온종일 섭취하는 또 다른 식품 범주이므로 잠자리에 들 때는 위장이 편안해집니다.

 

복합 탄수화물을 포함한 전체 음식은 소화 속도가 느린데 이러한 방식으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둘째, 멜라토닌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천연호르몬이라고 부르는 멜라토닌은 수면호르몬입니다.

 

멜라토닌은 캄캄한 곳에서 반응하여 뇌가 생성하는데 수면과 일주기 리듬의 타이밍에 도움이 됩니다.

 

셋째, 매운 음식은 최소한으로 드시길 바랍니다.

매운 음식을 섭취하면 소화기관에 자극적일 수 있어서 매운 음식이 위와 장을 통과할 때 복통이나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뇌에까지 영향을 유발하여 잠을 깊게 청하지 못하게 됩니다.

 

모든 매운 음식을 나쁜 것이 아니고 자신의 수면 패턴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섭취하라는 말입니다.

 

넷째, 마그네슘이 포함된 음식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마그네슘이 풍부한 음식은 아몬드, 해바라기 씨, 땅콩버터, 잎이 많은 채소 등에서 발견됩니다.

 

수면을 촉진하는 마그네슘은 멜라토닌과 함께 깊은 잠을 유도하는 물질로써 염증을 줄이고 수면을 방해하는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의 수치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다섯째, 알코올은 안 됩니다.

실제로 잠들기 전에 알코올 섭취는 REM 주기를 방해하여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여섯째, 카페인을 피하시길 바랍니다.

카페인이 포함된 식품은 잠들기 전에 최소한 6시간 전에 중단해야 합니다.

 

초저녁에 마신 커피 한 잔은 우리를 한밤중과 이른 아침에 뒤척이게 만들 것입니다.

 

카페인은 최대 12시간 동안 성분이 머무를 수 있습니다.

 

디 카페인(decaffeination)에도 카페인 성분이 있다고 하는데 이는 각성 효과로 밤에 깨어있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요즘 같이 힘든 겨울을 지나 다가오는 찬란한 새 봄을 만끽하기 위한 건강한 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